티스토리 뷰
심폐소생술 시행방법 알아보기
요즘 고혈압 환자등 심혈관련으로 사망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공동주택 등 공용시설에 자동제세동기를 비칠 할 만큼 많은 관심이 있습니다. 평상시에 건강관리를 잘하는게 우선이겠지만 나도 모르게 발생하는 사고에 대하여 대처하는 방법은 알아두는게 좋을 듯 싶습니다. 갑자기 환자가 발생하였을 경우 응급처치 중 심폐소생술로 먼저 심정지 확인을 하여야 합니다. 환자의 양쪽 어깨를 가볍게 두드리며 큰소리로 여보세요 등으로 소리를 칩니다. 환자의 몸 움직임, 눈 깜박임 등으로 반응을 확인하고 동시에 숨을 쉬는지를 관찰합니다. 그 와중에 반응이 업더라고 움직임이 있거나 호흡을 하는 경우는 심정지가 아닙니다. 동시에 환자의 반응이 없으면 즉시 큰소리로 주변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하며 119에 신고를 하여 도움을 받으며 만약 주위에 자동세동기가 비치되어 있다면 자동세동기를 함께 요청합니다.
기존에는 인공호흡을 2회 시행하여 환자의 머리를 젖히고턱을 들어 홙의기도를 확보 후에 시도하였지만 요즘은 결핵 등 환자로부터 전염이 될 수 있다고 하여 인공호흡은 생략하게 하도록 교육을 받고 있습니다. 만약 인공호흡을 시행시에는 30회의 가슴압박과 2회의 인공호흡을 실시하며 119 구급차가 올때까지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시해을 하도록 합니다.
회복자세로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을 계속 반복하던 중 환자가 소리를 내거나 움직이면 호흡이 회복되었는지를 확인하며 호흡이 회복되었다면 옆으로 돌려 눕혀 기도가 막히는것을 예방합니다. 이 후에도 계속 움직이고 호흡을 하는지 지속적으로 관찰하여야 하며 반응이 없이지거나 호흡이 없어지면 심정지가 다시 발생한것으로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을 즉시 다시 시작하여야 합니다.
이상은 심폐소생술 시행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출처: 대한심폐소생협회, 한국소방안전협회]
'사용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재시 행동요령에 대하여 알아보기 (0) | 2017.02.06 |
---|---|
자동세동기의 사용방법 알아보기 (0) | 2017.02.06 |
스마트폰 명함관리 앱에 대하여 알아보기 (0) | 2017.02.03 |
장기수선계획 수립, 조정교육 실무과정 교육 (0) | 2017.02.03 |
태양에너지에 대하여 알아보기 (0) | 2017.02.02 |